Talks
골다공증 선별이 없으면, 환자도 없다.
장이브 레진스터
Aug 18, 2025
Ken
7'
분
IOF 공동 창립자이자 ESCEO 회장인 그는 많은 골다공증 환자가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하며, 이제 새로운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세계보건기구(WHO) 근골격 건강 및 노화 협력 센터의 책임자입니다. 골관절염 유럽학회(ESCEO, European Society for Clinical and Economic Aspects of Osteoporosis, Osteo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회장이자 국제골다공증재단(IOF,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사무총장이며, WCO(World congress on osteoporosis, osteo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학회의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박사님이 계신 국가에서 골다공증이 충분히 진단, 치료 또는 관리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골다공증은 장애를 유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며, 막대한 비용을 수반합니다.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하죠. 이건 모두 동의할 겁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서유럽 국가에는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 치료 받아야 하고, 치료 받을 필요가 있으며, 치료 받을 자격이 있는 환자의 75%가 실제로는 치료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골절이 제대로 진단되지 않기 때문이죠.
골절이 제대로 진단되지 않는다고요?
예를 들어 임상적으로 명확치 않은 많은 골절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조차 인지하지 못합니다. 그 결과 이미 골절이 있는 많은 환자, 다시 말해 재골절 위험의 가장 강력한 신호를 가진 사람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건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는 골다공증성 골절이 위험하다는 인식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AI 기반의 기회적 골절 진단 보조 전략이
전 세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다공증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셨나요?
IOF와 함께 우리는 지난 25년간 문제 해결에 힘써 왔지만, 완전한 성공을 거두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각국 보건부와 함께 골다공증을 우선순위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WHO와 연계하여 각국 보건부와 정책을 논의하고, 영상의학회, 정형외과학회 등 여러 학회와 접촉했지만 충분한 반응과 성과를 얻지는 못했습니다. 지역 차원에서 진단 및 치료 접근성을 높이려는 노력도 해봤지만, 효과는 미미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AI 기반의 기회적 골절 진단 보조 전략이 전 세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프로메디우스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프로메디우스는 매우 흥미로운 기업입니다. 이 분야에서는 신생 기업이죠. 아직 우리와 협력한 기간은 길지 않지만, 이 회사는 우리 분야에서 활동하기 위한 두 가지 필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봅니다. 프로메디우스는 매우 높은 과학적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윤리적으로도 매우 건실한 기업입니다. 즉, 과학과 윤리를 모두 갖춘 회사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프로메디우스가 분명한 비전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프로메디우스의 비전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비전 있는 기업은 환자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업입니다. 프로메디우스의 비전은 인공지능 기술을 전 세계 골다공증 진단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비전은 매우 스마트하고, 시기적절하며, 환자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지향점입니다. 프로메디우스는 신생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놀라울 정도로 적극적입니다. WHO 파트너십 5개년 지원, IOF 기업 자문위원회 참여 및 지원, IOF 산하 국가학회 위원회 관련 행사 후원 등,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든 영역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프로메디우스는 IOF, ESCEO와 같은 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환자의 이익을 위해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탄탄한 과학적 기반과 엄격한 의료 기준 또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에게는 자기 골절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기 질병이 진단조차
안되는 것만큼 나쁜 일은 없으니까요.”
AI가 흉부 X-ray를 분석해서 골다공증을 선별하는 기술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새로운 기술과 접근 방식은 여러 면에서 매우 합리적입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이 기술은 골다공증 치료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영상의학과 의사들이 볼 수 없고, 놓치기 쉬운 골다공증을 식별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으니까요. 이로 인해 영상의학과, 임상의, 환자 간의 연계가 강화됩니다.
이 기술이 사회적으로 효용이 있다고 보시나요?
환자에게는 자기 골절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기 질병이 진단조차 안되는 것만큼 나쁜 일은 없으니까요. 이 기술은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반드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그리고 사회 전체적으로도 이 기술은 매우 의미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이 기술의 사회적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보건경제학 관점에서 연구했습니다.
보건경제학은 어떤 학문인가요?
보건경제학 연구란 건강 관련 비용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입니다. 우리는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미국, 유럽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이 기술이 최소한 비용 대비 효과적임을 입증했습니다. 즉, 투입한 비용 대비 가치가 있다는 뜻입니다. 다양한 환경에서는 비용 절감 효과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비용을 절약하면서 환자들의 삶을 개선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기술은 의사에게도 유용합니다. 왜냐하면 의사들이 해야 할 일을 보조해주기 때문입니다. 이 기술은 환자가 정당한 치료를 받도록 하여, 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그리고 사회 전체의 의료비 지출도 절감합니다. 즉, 우리가 해결해야 할 모든 문제의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 본 콘텐츠는 골다공증 조기 선별과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공익성 정보 제공 인터뷰입니다
프로메디우스 주식회사.
Copyright 2025 PROMEDIUS INC. All rights reserved.
05510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13, 국민연금 잠실사옥 4층(신천동)